동동이 경제적 자유 달성기

자본주의 사회에서 우뚝 서기 위한, 지식을 나누는 공간입니다

  • 2025. 4. 18.

    by. dongdong-1

    목차

      반응형

       

      주식 대응 수익극대화 방법

       

       

       

      지난 포스팅에서 주식을 궁극적으로 잘하려면 대응을 잘해야 한다고 이야기 했었고,

      대응에는 크게 2가지가 있다고 말씀을 드렸었어요

      첫번쨰는 수익 극대화 이고

      두번쨰는 리스크 관리입니다.

      지난 포스팅에 리스크관리에 간단하게 이야기해 보았어요.

       

      궁금하시다면 아래 내용을 확인하셔요

      ↓ ↓ ↓ ↓ ↓ ↓ ↓ ↓

      https://dongdong-1.tistory.com/33

       

      주식은 도박이 아닙니다! 대응입니다 = 당신이 돈을 잃는 이유=리스크 관리

      주식 잘되고 있나요?이 글을 보고 있는 본인 뿐만이 아니더라도, 주변에서도 그 누구도 주식으로 돈을 벌었다는 사람을 찾아보기 힘듭니다.대체 왜 그럴까요? 오르락내리락 하다보면 분명 누군

      dongdong-1.com

       

       

       

      그럼 오늘은 수익극대화에 대해서 한번 이야기 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기본적으로 깔고가야하는 마인드는 주가는 절대 내 마음대로 움직이지 않는다는 것.

      오르는 종목을 귀신같이 맞춘다거나, 차트를 보고 곧 오를 종목을 예측한다는 것이 애초에 불가능 하다는 것입니다.

      이것을 인정해야 도박이 아닌 건강한 주식을 할 수 있습니다.

      내가 매수한 후 얼마든지 떨어질 수 있고, 반대로 운이 좋게 오를수도 있습니다.

       

      주가가 올라주기를 바랬지만 실제로는 떨어질 경우를 미리미리 대비해 놓는 것이 리스크 관리(=분할매수로 평균단가 관리=늘 적정량의 현금보유) 이고, 

       

      반대로 운이 좋게 주가가 올라줄 때 어떻게 대응할지가 오늘 얘기할 수익극대화 입니다.

      이 기본적인 마인드를 인정하고 아래를 한번 읽어봅시다.

       

      주식에 빨간불이 들어오면 마음이 요동을 칩니다.

      이 종목이 파란불에서 짧게는 며칠, 길게는 몇년동안 파란불(손실권)로 고생을 시켰는데,

      드디어 빨간불(수익권)이 들어왔어요.

      게다가 주식 파동은 희한하게 떨어질때는 슬금슬금 오랜시간동안 떨어지면서 개고생 시키다가

      오를때는 10% 20% 순식간에 올라버리거든요.

      그렇게 반짝 올랐다가 팔까말까 고민하는 동안 다시 제자리로 돌아가는 경우도 허다합니다.

      이런 것을 한두번 경험해보면서 주식에 빨간불이 들어오면 콩닥콩닥, 팔까말까 고민이 되지요.

      팔았는데 만약 더 올라가리면 또 아쉬워서 마음이 찢어지거든요. 아 팔지말껄 하면서,,,

       

       

      결론은 일단 매도합니다. 단 전량을 매도하지는 않습니다.

      (물론, 종목이 재무상으로 위험하거나 하여 조만간 상폐, 감자 등이 있을 수 있는 그런 위험한 종목은 아니어야 합니다)

      기준이 애매모호한데,

        ① '주가가 다시 떨어져도 후회하지 않을 물량만큼' 매도합니다.

        ② '일부 팔고났더니 주가가 더 올라도 아쉽지 않을만큼' 매도합니다.

      계속 말씀드렸듯이, 주가가 어떻게 움직일지는 알 수 없기 떄문에 

      오르는 경우, 떨어지는 경우 모두를 염두해 두는 것이 핵심입니다.

       

      기준이 이렇게 애매한 이유는

        ① 내가 현재 가지고있는 해당주식 보유물량이 많을수도있고, 적을수도 있으며

        ② 현재 내 계좌 상황이 빡빡하여 현금이 필요할수도, 계좌 상황이 여유로울수도 있으며

        ③ 주가의 차트 위치가 고점일수도, 저점일수도, 적당할수도 있으며

        ④ 지금 나온 파동이 5~10%로 작일수도, 15~30% 큰 파동일수도 있기 떄문입니다

      즉, 상황이 늘 다를 것이기에 선택은 우리의 몫입니다,

      다만 그 선택에 대해서 책임을 지면 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대응을 하고나면 앞으로의 상황은 두가지가 있겠지요.

       ① 만약 내가 후회하지 않을만큼 매도했는데, 이후, 주가가 떨어졌다면?

         - 물론 아쉽긴한데 괜찮습니다. 왜냐하면 비교적 높은 고점에서 후회하지 않을만큼 매도해 놓았거든요.

            그 매도한 물량만큼 저점에서 다시 매수한다면 그만큼 평단을 낮출수 있고 그만큼 이득이 되니까요.

            대신 매수를 할떄는 한방에 매수하는게 아니라 분할로 천천히 매수합니다.

            (하루동안 천천히 매수하라는 것이 아니라, 며칠 몇달에 걸쳐서 분할매수 하라는 겁니다)

       

       ② 만약 내가 후회하지 않을만큼 매도했는데, 이후, 주가가 올라간다면?

          - 본의아니게 돌고돌아 오늘의 주제인 수익극대화 방법으로 왔네요.

            (기다리게 해드려서 죄송합니다. 말씀드리고 싶은 내용이 너무 많았나봐요...)

            상황이 이렇다면 빨간불(수익권)이 들어와있을 거예요.

            여기에서의 목적은 불타기로 보유 물량을 늘리는 겁니다.

            아시다 싶이 보유 물량이 많은 상태에서 상승을 만나야 수익이 극대화 되니까요.

       

            이젠 얼마나 불타기를 해서 보유물량을 늘릴 것인가가 관건인데,

            이것도 사실 기준이 애매모호 합니다.

            불타기는 '평단의 유리함을 반납하지 않을 만큼만' 합니다

            너무 많은 물량을 매수해서 평단이 너무 높아져버리면 주가가 조금만 떨어져도 다시 파란불이 들어오겠죠?

            파란불이 들어오는 시점에는 늘려놓은 물량을 다시 매도하면서 더 떨어질 가능성을 대비해야 해요.

       

      최근 쭉쭉 올라가는 수익극대화 예시가 없긴한데 

      파동이 나올때 대응 한다는건 이런 느낌입니다

      파동이 나올때 대응 한다는건 이런 느낌

       

           

      절대 잊지마세요.  수익극대화 베팅(불타기)은 빨간불이 들어왔을 때만 하는겁니다.

      파란불이 들어오기 직전에는 더 떨어져도 관리할 수 있는 적정한 비중으로 반드시 돌아와야 합니다.